부사 역할을 하는 절(주어 + 동사 포함)이다. 더 설명하자면 절에 접속사가 붙어 부사의 역할을 하면 부사절이다.
부사절의 특징은 아래와 같다.
- 부사절의 접속사는 종속 접속사이다. 즉 부사절은 주절에 붙은 종속절이다.
- 부사 역할을 하기에 부사절이 없어도 주절은 완전하다.
- 부사절을 구분하기 위해 ,(콤마)를 사용한다. (추가 설명은 아래에 작성)
- 부사절의 주어가 주절의 주어와 같은 경우 부사절의 주어는 생략이 가능하다. (추가 설명은 아래에 작성)
※ 3번 항목 추가 설명 ※
부사절이 주절을 꾸밀 때 위치가 3가지가 있는데, 문장 앞, 중간, 뒤에 놓을 수 있다.
- 부사절이 문장 앞에 있는 경우, 위에서 언급했듯이 부사절과 주절의 구분을 위해 ,(콤마)를 사용한다.
- 부사절이 문장 뒤에 있는 경우, 접속사가 부사절을 구분해주므로 ,(콤마)를 사용하지 않는다.
- 부사절이 문장 중간에 있는 경우, 부사절과 주절의 구분을 위해 부사절의 앞뒤로 ,(콤마)를 사용한다. 이렇게 잘 쓰지는 않는다.
부사절의 예문을 하나 들어 설명을 계속하자면,
ex) When I was young, I'd listen to the radio.
=> 내가 어렸을 때, 라디오를 듣고는 했다.
- 'When I was young' 만 존재한다면 말이 부족하다. 어릴 때 어땠는지 설명을 추가로 요하므로 부사절은 종속절이고 주절인 'I'd listen to the radio' 를 수식하는 역할을 한다.
- 'I'd listen to the radio'는 그 자체로 완전하다.
- 부사절인 'When I was young'을 구분하기 위해 ,(콤마)를 사용하였다.
※ 4번 항목 추가 설명 ※
부사절의 주어 생략에도 규칙이 있다.
- 부사절의 주어가 주절 자체를 가리킬 경우 역시 생략할 수 있다.
- 동사가 be동사인 경우 동사 역시 생략할 수 있다. (주어가 다르다면 주어는 그대로 두되, be동사만 생략이 가능하다.)
- 분사구문으로 만드는 경우 접속사도 생략할 수 있다. (마찬 가지로 주어가 다르다면 접속사만 생략할 수 있다.)
'영어 > 문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영어 문법] be to (0) | 2022.12.31 |
---|---|
[영문법] at, on, in (0) | 2022.12.24 |
[영문법] too to 용법 (0) | 2022.12.06 |
[영문법] ~인지 (0) | 2022.11.05 |
[영문법] be to (0) | 2022.11.03 |